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욕심쟁이 알고리즘
- 드라이브 마운트
- isDisable
- labelImg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thymeleaf-layout-dialect
- object detection
- 데이터셋
- 정렬알고리즘
- springboot
- 스프링부트
- 모델 훈련
- combobox
- css
- React
- YOLOv5
- html
- 정처기
- 게시판만들기
- 글 검색
- 방만들기
- 정처기 실기
- 데이터셋 직접
- 컴활1급필기
- 조회수 증가
- customized yolov5
- 객체 감지
- 직접 라벨링
- 게시판
- HTML공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9)
기록장

이제 글을 삭제하는 기능을 구현해볼 것이다. 내가 머릿속에 그려놓은 삭제 기능은 더보기란 클릭 !! 더보기 1. 먼저 삭제 버튼을 클릭 2. 그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뜨고 3. 먼저 해당 글을 작성했을 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비밀번호가 맞는지 check를 한다. 3-1.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alert메세지가 뜨고 글 목록 페이지로 이동 3-2. 비밀번호가 맞으면 삭제 버튼이 활성화가 되고 누를 수 있다. 4. 삭제 버튼을 클릭 5. 글이 삭제가 되고 글 목록 페이지롱 이동 1. 먼저 삭제 버튼을 클릭 2. 그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뜨고 3. 먼저 해당 글을 작성했을 때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비밀번호가 맞는지 check를 한다. 3-1. ..
이전 글에 이어서 실제 글을 삭제하는 로직을 작성해보겠다. (실제론 삭제가 아니라 db의 delete_yn의 값을 'Y'로 update시켜주는 것이다, 글목록 페이지에서는 delete_yn='N'인 값만 보여주게 함) delete.html 을 보면 "삭제" 버튼을 클릭했을 때 태그의 데이터들이 "/board/delete" 서버로 보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board/delete와 매핑 되는 함수를 만들고 그 안에서 service 함수를 실행시켜야한다. 1. idx와 password값을 받은 서버("board/delete")를 controller와 mapping @PostMapping("/board/delete") private String deleteByIdx(@RequestParam("idx"..

어떤 사람이 어떤 글을 클릭했을 때 그 글의 조회수가 증가해야한다. 나는 글을 클릭했을 때 해당 글을 가져오는 것과 조회수 증가를 같은 service단에 둘려고 한다 -> 1. 해당 idx의 hit 를 1 증가 시키고 2. 해당 idx 글을 select하기 의 순서로 진행할 것임 1. service 수정 hit를 update시키는 boarddao함수를 추가해준다. 2. dao 함수 추가 3. xml 수정 idx가 일치하는 데이터의 hit를 1증가시켜준다 (update) 4. 실제로 조회수 업데이트 해보기 이 페이지에서 1번 글을 클릭하고 다시 목록으로 돌아왔을 때 조회수가 3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클릭했을 때 해당 내용이 잘 보이고 다시 글 목록 화면으로 돌아와보니 조회수가 잘 업데이트 된 것을 확..

이제 글작성 버튼을 눌렀을 때 제목, 내용, 작성자, 비밀번호를 작성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고 다 쓰고 나서 이 데이터를 db에 insert하는 로직을 생성해보도록 하자. 1. 글을 작성하는 페이지 생성 (write.html) 여기서 글쓰기 버튼을 누르면 write.html으로 간다 (이건 글쓰기 버튼에 a href 달아줌) write.html 최대 30자 최대 10자 최대 6자 다른 html파일들과 똑같이 content 부분만 내용을 바꾸어준다. 이때 비밀번호까지 작성하는 이유는 나중에 글을 삭제할 때 그 글을 작성한 사람만이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input태그의 submit 속성을 사용했는데 input 의 submit과 button의 차이점은 다른 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