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labelImg
- combobox
- springboot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 게시판
- 글 검색
- 욕심쟁이 알고리즘
- 데이터셋
- object detection
- 스프링부트
- isDisable
- customized yolov5
- 방만들기
- React
- 정처기 실기
- 정렬알고리즘
- thymeleaf-layout-dialect
- 모델 훈련
- 컴활1급필기
- 게시판만들기
- HTML공부
- css
- 객체 감지
- 조회수 증가
- 정처기
- 데이터셋 직접
- html
- 직접 라벨링
- YOLOv5
- 드라이브 마운트
- Today
- Total
목록코딩테스트 공부 (9)
기록장
*** 먼저 정규표현식을 사용하려면 import re 를 해주어야 한다. \d : 숫자와 매치 [0-9]와 같은 의미 \D : 숫자 제외한 문자 [^0-9]와 같은 의미 \s : whitespace \S : not whitespace \w : 문자 + 숫자 (word) [0-9a-zA-Z]와 같은 의미 \W : 문자 숫자 제외 [^0-9a-zA-Z]와 같은 의미 정규식의 . (dot) 의미 == \n(줄바꿈)을 제외한 모든 문자 정규식 a.b 는 a와 b사이에 어떤 문자라도 있으면 매치된다는 의미 (a+모든 문자 + b) 정규식 a[.]b 는 a.b만 된다 [ ] 안에 . 가 들어가면 . 문자 자체를 의미 * (반복을 의미) 0번 이상 + (반복을 의미) 1번 이상 {m,n} m번 이상 n번 이하 반복 ..
리스트를 생성할 때 comprehension을 사용하면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 comprehension의 형태 [ x ** 2 for x in num if x>0 ] [ output | for 변수 in 범위 | 조건문] 조건문은 optional이다.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 output에 있는 변수는 꼭 뒤의 for문에 사용한 변수와 같아야 한다. 위의 예시는 num이라는 변수 중 0보다 큰 수들의 제곱 형태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다. 예시 #1. fruits = ["banana", "orange", "melon", "apple", "watermelon"] print([w for w in fruits if len(w)>5]) --> ["banana", "orange", "wat..
stack을 구현하고 싶을 땐 list로 구현할 수 있다. basket = [1,2,3] #마지막 원소를 가져오고 싶을 때 basket[-1]로 가져올 수 있고 #마지막 원소를 제거하고싶을 때 bakset.pop()을 사용하면된다.. #끝에 추가 할 때 basket.append(원소)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queue = deque() #큐 생성 queue.append(5) #5삽입 queue.append(2) #2삽입 queuee.popleft() #삭제 queue.reverse() #역순으로 바꾸기 삽입 - append() 삭제 - popleft()
책에 해시 관련 내용 없어서 따로 정리 생긴 형태 딕셔너리 변수명 = { key1 : value1, key2 : value2, key3 : value3 ...} #키만 출력 하고자 할 때 딕셔너리변수명.keys() #값만 출력 하고자 할 때 딕셔너리변수명.values() #키를 가지고 value에 접근 하고자 할 때 딕셔너리변수명[key] #딕셔너리에 key : value 한 쌍을 추가하고자 할 때 딕셔너리변수명[key] = valuee #딕셔너리에서 삭제하고자 할 때 del 딕셔너리변수명[key] 키를 삭제하면 value도 함께 삭제된다.